2020년 5월 20일 수요일

다우키움그룹




지배구조

김익래→ 다우데이타 → 다우기술 → 키움증권’ 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

  • 다반테크를 통해 완성


지배구조 역사


1986년 설립된 다우기술은 1992년 다우데이타시스템, 1997년 다반테크를 잇따라 세움

2001년 '김익래 → 다우데이타시스템(지분 20.6%; 2001년 12월 말 기준),다우기술(지분 14.6%)' ; '다우기술→다우데이타시스템,다반테크'

2002년 김익래 다우데이타시스템 보유지분 전량을 (458만주, 지분율 20.63%, 62억 8417만원; 1주당 1370원)에 다우기술에 처분 + 다우기술 지분 매수

2004년 다우기술 지분 450만주; 110억 2500만원; 1주당 2450원;을 다반테크에 매도

2004년 지배구조: 다반테크 → 다우기술 → 다우데이타시스템

2006년 8월 22일 다우데이타시스템 다반테크 지분 632만주 취득 (지분율 88.9%)

  • 김회장이 다우데이타시스템 최대주주, 다우데이타시스템이 다반테크 지분 취득으로 순환 출자 구조가 해소
2006년 8월 25일 다우기술에서 다우데이타시스템 1100만주; 163억 8000만원(주당 1490원) 매입

2007년 다우데이타시스템(김회장 지분율 43.8%) >> 다반테크 흡수합병

관련정보


2020.02.20 [아주경제]다우기술 매출의 80%(2019년 3분기 기준)를 의존하는 키움증권

  • 다우기술 매출에서 키움증권 비중 2006년 10%초반; 2007년 20.3%; 2018년 27.0%
  • 다우기술 - 키움증권 거래비중은 내부거래를 통한 매출 582억 2200만원의 86.63%; 504억 3500만원



용어

다반테크(다우데이타시스템에 흡수합병; 2007년)
다우데이타(전 다우데이타시스템; 2007년 상호 변경)

2차전지

2차전지 핵심소재: 양극재, 음극재, 분리막, 전해액


에너지가 2차전지로 바뀌기 시작 광산이 패권



전반적 정보
   - 1H20 코로나19에 따른 유럽의 이산화탄소 규제완화 가능성 커짐
   - But 유럽은 전기차 위주의 판매 촉진책을 준비 중

   - 전기차의 30%가 배터리
   - 여전히 전기차의 초기비용은 높음 아반테 (1500 - 2300만원짜리)를 5천만원에 사는격
   - 그래서 지금까지는 지지부진함
   - BUT 자율주행때문에 사람들이 전기차에 대한 인식이 달라짐? - 기사를 쓰는 느낌

   - 장비보단 소재 / 소재중 하이니켈 (2020.06.29; 삼프로)


전고체 관련주
삼성SDI
동화기업
천보
에코프로비엠 - 하이니켈 관련하여 상승여력이 더 좋음? (2020.06.29; 펀드매니저 및 방송언급이 있어 관심)

삼성SDI (헝가리 공장)

LG화학
   - 중국에서 테슬라 장거리 배터리 수주
   - LG화학은 왜 배터리 주가가 삼성SDI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가?
      - 종합화학회사 (사업영역이 다름)
      - IR팀이 불친절함
   - 각형 파우치형은 LG, 삼성이 압도적으로 잘함
   - 2020.06 소형 전지 사업부 흑자 - 원통형 배터리 때문



   - LG화학이 TSMC같은 회사가 될수있는가? TSMC는 마진율이 50%
   - LG화학은 마진율을 높일 수 있는가? 아니다
   - 왜냐하면 테슬라는 최대한 가격을 싸게 하려고함
   - 이익율은 LG화학은 자신하고있으나 투자자는 의문
   - 그렇지만 양은 많아짐

   - 전기차때문에 전력난이 올수있음 2030년경
   - LNG 시장의 증가? 이쪽은 개인적으로 안건드림


SK이노베이션 (헝가리 공장)
CATL
   - 인산철로 만드는 배터리 (리튬대비 60% 그렇지만 중국시장에 테슬라에 진입하며 CATL 배터리를 사용)
Panasonic
   - 원통형 전지를 팔아서 1위를 차지했었던 기업
   - 왜 현재 1위를 못하는가는 중국 상하이와 관련있음

양극재

에코프로비엠
엘앤에프
포스코케미칼

음극재 (흑연; 그렇지만 흑연을 앞으로 안쓴다는 말이 있음)

포스코캐미칼 - 흑연에서 탈피하면 문제될 수 있음?

  • 음극재 실리콘으로 넘어가는 추세 흑연의 한계가 존재 (2020.06.29)

대주전자재료 (실리콘계 음극재 첨가물)

동박 

   - [삼성증권] 2020.05.25 Peer Group EV/EBITDA 배수상승 (13.4배 -> 15.2배)
  • 분리막 / 동박 쪽은 경쟁자 많아서 경쟁력 잃음? (2020.06.29; 삼프로)


SKC

   정보
      - SK넥실리스(전 KCFT)
      - [삼성증권]1H19 월평균1,144톤 수출; 2020 1월 635톤, 3월 1513톤, 4월 1264톤
      - [뉴데일리경제]SKC 이사회는 3월 CMP 패드 천안공장 증설 투자를 전원 찬성의결 12월까지 총 465억원 투자
   
일진머티리얼즈

두산솔루스 (2020.05.17 - 현대자동차 강동진: 롯데케미칼 두산솔루스 인수?)

   정보
      - 2차전지 증설이 집중되고 있는 유럽에 위치한 유일한 전지박 업체
   전지박사업
      1. 전지박 - 전기차 배터리용 동박 소재
         - 헝가리 전지박 공장
      2. 동박 - 전자제품 회로기판(PCB)용 동박 소재
   첨단소재 사업부문
      1. OLED - 스마트폰, 노트북, TV및 차량 패널용 / OLED 및 Display 소재
         - OLED 소재 사업의 경쟁력은 국내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에 오른 수준?
         - OLED 소재업체: 덕산네오룩스, SKC코오롱PI 등
      2. Bio - 천연물 기반의 화장품,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용 소재

   인수관련
      - 현 두산솔루스(1.2조원) 적정가격 지분가치(1.23조원) + 경영권 프리미엄(2500억원)
         + 순차입금(900억원) = 기업가치(EV) 1.57조 + 투자비용 2400억 = 1.81조
      - 2만톤 투자비용? SKC의 KCFT는 2만톤 Capa 보유


전해액

양극재와 음극재 사이에 리튬이온을 전달하는 매개체

파낙스이텍 (동화기업 인수)

  • 2009년 설립된 파낙스이텍은 중국 코타이하우룽과 캡켐, 일본 미쓰비시화학 등이 독점해 온 전해액 시장에서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한 기업
  • 2020.02.21 헝가리 부다페스트 인근 2차 전지 전해액 제조 공장 짖겠다 발표

엔켐
솔브레인

기타

신흥에스이씨(CID/ Cap Assembly)

  • 고객사인 삼성SDI에 대한 사업 의존도가 높음
  • 2020.05.21 비고: SDI 주가와 비슷하게 따라감
  • 삼성SDI 공장에 같이 공장 설립
이노메트리(X-ray 검사장비)


2차전지 장비업체

대보마그네틱: 2차전지의 폭발 위험을 제거하는 전자석 탈철기(EMF) 생산기업
이노메트리: 엑스레이를 투사해 2차전지에 결함이 있는지 가려내는 검사장비
피앤이솔루션 - 2차전지 소재 및 생산 단계에서 쓰이는 장비 제작
  • 2차전지가 전기 성질을 띠게 하는 활성화 장비를 만든다
피엔티 - 2차전지 소재 및 생산 단계에서 쓰이는 장비 제작
  • 2차전지 부품인 분리막 등을 만드는 롤투롤 장비 제조기업

테슬라

공장 설립: 중국(상해 부지 제공) / 독일 / 미국(텍사스 오스틴 or 오클라호마 툴사 중 한곳)
  • 국가 고용 수만명이 왔다 갔다 함
  • 베를린 배터리는 누가 먹는것인가?
  • 탭리스 원천기술
  • 12년간 100만대 올해 50만대
  • 2021년에는 100만대
모델S
모델E (보급형)
모델3
모델Y


현대

   - 앱티브

웨이모

자율주행 3단계에서 실패 - 혁신이 한방에 이루어지지 않음 (300조가 30조로 쪼그라듬?)


NCA

2020년 4월 5일 일요일

[2020-04-06]경제 페이지 복붙 - 페이지 내용을 리뉴얼 하려고 함

** 전문가가 아니라 그냥 심심풀이로 하는것이기에

잘못된 정보가 많을 수 있습니다.


투자기준

[2020-03-19]

  • -15%에 무조건 매도 / -5%마다 500주씩 추가 (자금은 해외펀드 매도분사용)
  • 인버스로 손해 만회시 모든 주식 처리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해외주식 실험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[2020-01-06]

  • 피델리티글로벌테크놀로지증권투자 30%대 수익을 내고 팔았다.
  • 에셋플러스글로벌리치투게더증권투자 15%대 수익을 내고 팔았다.
  • [2020.03.04]미국 펀드의 경우 40%, 20%초반대 까지 상승했으나 지금은 24% 12%대이다. 재구입을 하고싶으나, 코로나로 큰폭 감소할까 우려되어 조금 더 지켜봐야겠다.

[2020-03-02]

  • 교보악사로보테크증권자투자 8%대 수익을 내고 팔았다.
[2020-03-04]

(미국) VS (중국&아세안) 비중을 3:1로 가지고 있었는데, 미국 증시는 대폭 상승한 반면, 중국&아세안은 소폭 하락했다. 글로벌 기업들이 주식흐름을 가져가는듯하다. 또한 4차산업혁명에 맞는 기업들은 미국에 많이 포진함에 따른 것이리라 생각한다.

중국 & 아세안 쪽은 연초에 -15% -6% 까지 갔으나 현재는 -22% -5%를 기록하고있다. 사실 장기적으로도 좋지 않아서 일전에 팔아어야 한다는생각이 든다.
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국내주식 실험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1. 한국전력 (1월분)

월 100만원씩 주식을 구입하여 1년동안 어느정도의 수익을 낼 수 있을까? 

[2020-02-19]25900원에 38주 구매 = 984200 - 세금(8356)

[2020-02-25] 24일 코로나 확산에 따라 국내주식이 많이 빠졌고, 이 때문인지 외국 자본이 많이 빠지는 추세이다. 25일은 코스피 지수가 많이 회복하였으나, 한국전력의 경우는 -850원(-3.33%)을 기록하며 크게 빠졌다.

  • 네덜란드공적연금(APG)가 약 790억원 한전 지분을 매각했다고 함. 이는 '탄소 배출 감축 노력에 진전이 없다'라고 판단한 것에 따른 결정. 

  • 개인 방침: 일단 한국전력은 장기적으로 투자하고자 한다. 이에 떨어지면 계속해서 더 많이 산다.
  • 태양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를 비교하는데 인류를 위해서라도 원자력 에너지에 투자하고 발전시키는게 더 좋다고 생각한다. 이건 물리학을 공부하는 입장에서의 접근법이다. 우주에서 에너지를 사용하기위해 태양전지를 만들었으나, 5AU까지 밖에 사용불가능하다. 언젠가 인류는 우주로 향해 가야한다. (어쩌면 빠른 시일내일지도) 우주에서의 에너지원은 원자력 에너지여야 한다.
    1. 개인생각: 참고로 우리나라 원전보다 중국의 원전을 더 무서워해야 한다. 중국의 동쪽에 원전이 다 포진해 있는데, 하나라도 터지면 우리나라에서는 큰 피해가 있을것이다. 
    2. 개인생각: 기후협약과 관련하여 요즘 그린에너지 쪽에 힘이 실리는듯 하다. 지구는 온도에 대한 버퍼가 없다. 이 말은 위가 PH7쯤에서 음식을 녹이며 농도를 왔다갔다 할 수 있지만, 지구는 뜨거워지면 계속 뜨거워 지고, 차가워지면 계속 차가워진다. 그래서 과거 smash ball earth 혹은 ice ball earth 라는게 존재했다고 추정한다. (덴마크 코펜하겐대 강의 중) 실제로 지구 온도가 4-7도 정도 올라가면 인류는 멸망할 것으로 학자들은 예측하고 있다. 이것에 대한 비유로 뜨거운 후라이팬 안의 개구리가 있다. 후라이팬에 높은 온도로 가열 한 후 개구리를 넣으면 바로 나온다고 한다. 그렇지만 천천히 온도를 올리는 후라이팬에 개구리를 넣으면 온도라 올라가는지 모르고 죽는다고 한다. 
    [2020-03-04]정리를 조금 늦게한다. HVDC사업과 관련하여 중국입찰건으로 파장이 일어났다. 문제는 중국 입찰 관련 내용이다. 

    • 한전이 완도∼제주 구간 제3 초고압직류(#3HVDC) 해저케이블 입찰 공고를 낼 예정
    • 중국 입찰에 대한 이야기가 나옴 (한전이 기재부에 물어보고 허락 받은 듯?)
    • 국민 및 관련 단체 비판
    • 중국은 세계무역기구(WTO) 정부조달협정(GPA) 협정국이 아니라 불가능  
    • GPA 가입국: 한국 미국 캐나다 EU(유럽연합) 일본 홍콩 싱가포르 스위스 이스라엘 47개국
    • WTO 협정국이 아닌 경우에는 입찰 참가 불가
    • GPA 협정국이 아닌 경우 입찰 무효 사유
    • 예외 사항
    1. 특정조달을 위한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특례규정 제3조제5항에「국가재정법」 제6조에 따른 중앙관서의 장 또는 법 제6조에 따른 위임·위탁 등을 받아 계약사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국제입찰대상이 아니더라도 국제입찰에 의하여 조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              1. 부실공사방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
              2. 국내생산이 곤란하여 국내입찰로는 조달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
              3. 그 밖에 국제입찰에 의하여 조달하는 것이 해당 계약의 목적·성질상 효율적이라고 인정되는 경우

    [2020-03-19]매도 손해는 KODEX 200선물인버스2x 와 상쇄
   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    2. 삼성전자 (2월분)

    [2020-03-02] 한국전력이 코로나와 탄소 관련 투자로 해외에서 매도가 많고 재무상태도 안좋아서 폭락하였다. 이에 코로나로 삼성전자가 많이 떨어져, 삼성전자를 임시적으로 매수 했다.
    • 삼성전자는 비메모리분야를 어찌 접근할지는 좀더 지켜봐야할듯. 비메모리 분야가 차기 먹거리임에는 분명하다. 
    [2020-03-19]매도 손해는 KODEX 200선물인버스2x 와 상쇄


   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    3. KODEX 200선물인버스2x
    [2020-03-19] 10700대에서 500주 주문으로 시작했다. / 7%대 수익으로 매도
    [2020-03-23] 20(금요일)일 + 23(월요일)일 구매분 / 두번 모두 3% 수익으로 매수 & 매도
    [2020-03-23] 24(화요일)일은 상승장 예상
    [2020-03-24] 상승장임에 따라 레버리지와 인버스레버리지를 구매하며 생각한 방법대로 시도해 보았으나, 내가 예상하는 장은 박스권이라면 24일의 장은 꾸준한 상승장이였다.
    - 그래서 손해를 -5% 본듯하다. 원상 복구된 느낌.
    - 25일이 하락되기를 바라지만 일단 미국 증시 상황을 보면서 내일 방침을 정해봐야겠다.
    - 기대치가 증시에는 반영된다는게 어려운것 같다. 실제로는 3월은 떨어지는게 맞는것 같은데...


    관심종목
    - KODEX 미국달러선물 인버스2X
    - SQQQ
    - TVIX
    - TLT (프로그램 추천 상품)
    - 올웨더포트폴리오



    이런저런 뉴스

    [2020-03-22]The Fed will make up to $4 trillion in loans to businesses to rescue economy, Mnuchin says (질적완화 - 회사채 매수)

    [2020-03-24]흐름 정리 코로나 VS 완화 정책
    1. 미국 무제한 양적완화 정책
    2. 대한민국 100조 규모 지원정책

    2020년 4월 3일 금요일

    2020년 4월 2번째주를 위한 증시 분석



    2020년 4월 2번째 주 증시 분석


    2008년 위기 원인은 모기지채권, 이번 경제위기 핵심은 회사채


    ** 회사채 만기로 하락 장이될까?
    ** 선거를 앞두고완화정책으로 상쇄시킬 것인가?


    회사채

    • 1∼12월이 만기인 국내 회사채 50조8천727억원
    • 4월 한 달간 만기 도래 회사채 6조5천495억원
    • 회사채 발행 규모
           2016년 109조8천579억원
           2017년 144조238억원
           2018년 160조9천183억원
           2019년 170조1천827억원
           * 저금리 기조에 따른 자금 조달이 원인

    • 국제금융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비은행 기업들의 회사채 규모는 금융 위기 당시인 2009년 말 48조달러에서 작년 말 75조달러로 급증



    참고자료
    - [조선비즈]잔인한 4월 다가온다… 심상치않은 회사채

    2020년 3월 30일 월요일

    2020년 4월 1일 장을 위한 공부

    투자 조사


    - 삼성증권을 30일 장 초반에 구매하여 (30일장은 일차 상승 그래프 형태) 31일 초반에 팔았다. 하루만에 6% 수익이라 성공적이였던것 같다.


    - 투자 이유는 통화 스와프, 4월2일 정책자금 유입등으로 1주일정도 투자 목적으로 구매하였으나, 수익률이 괜찮아서 하루만에 매도 하였다.


    - 또한 증권사 주의 하락 폭이 다른 일반 기업 하락폭보다 더 심하기에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다는 판단하에 들어갔다. 그렇지만 31일 연합뉴스 자료를 보면

    • 목표주가를 각각 한국금융지주[071050]는 10만2천원에서 7만3천원으로 (매수)
    • 미래에셋대우[006800]는 9천800원에서 6천100원으로 (중립)
    • 삼성증권[016360]은 4만5천원에서 3만8천원으로 각각 낮췄다. (매수)

    - 미래에셋대우는 그동안 항공,호텔 종목에 투자하였는데 이것들에 따른 수익률이 대폭 감소하고 손해를 많이 봤을거라 추정하나보다. (기억이 맞는지 모르겠다... 업체가 너무 만다...)

    - 31일 초반 장세만 본다면, 상승여력을 잃은것 같다. 통화 스와프가 오전10시 ~ 10시반쯤인걸로 봤던것 같은데 현 시간은 급하락중이다. (매도 물량이 많은듯) - 어제는 꾸준한 상승 모멘텀이 보였다면, 지금은 상승 모멘텀이 없는 느낌. (제 개인 생각이에요... 물리학하는 주알못이니 믿지를 마시옵소서)





    2020년 3월 29일 일요일

    2020년 3월 30일 장 예측을 위한 조사자료

    2020년 3월 30일 장 조사자료


    [연합뉴스] 17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진을 이어갔다. 17일 동안 외국인의 누적 순매도액은 11조1천148억원에 달했다. 같은 기간 개인은 9조4천365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외국인이 팔아치운 물량을 대부분 받아냈다.

    [연합뉴스]한미 통화스와프 자금 600억달러 가운데 1차분 120억달러가 오는 31일 시중에 공급된다. 금융회사에 실제 돈이 풀리는 시점은 4월 2일이다.

    [연합뉴스]
    - 다우지수는 이번 주 12.8% 상승률을 기록했다.
    - 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500지수는 88.60포인트(3.37%) 내린 2,541.47에,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95.16포인트(3.79%) 떨어진 7,502.38에 각각 마감했다.
    - 사흘간 큰 폭으로 급등한 탓에 하락 압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






    [2020-03-28]카페에서 주식 관련 공부 - 포트폴리오 만드는 작업 중

    회사채 사는건 유가 하락과 연관됨
    1) 유가하락른 디플레 우려
    2) 회사채 신용경색 일으킴
    • 경기 안좋아지며 회사채 신용등급 하락 -> 더 위축 -> 신용등급 더 하락 이런 사이클 막으려는것?



    [2020-03-29]슈카월드를 보면서 

    증권사 주들 하락 이유
    1. 증권사 신용융자 잔고 추이 (절반됨) - 마진콜 40%남
    2. ELS 운용손실 확대 (락인 락아웃) - 한은 RP매입으로 한시름 놓은듯. (25일장 자료참조)
    - 대부분 자산이 외화라 달러가 많이 필요함 그래서 스와프가 필요했음?
    - 3월 31일부터 달러 유입/ 4월부터 정책 시행?

    고배당주 - 은행주가 날라가며 수익률 급하락

    카카오페이증권 출범
    - 10~30대 주식을 카카오톡으로 거래 가능? (2019년 승인됨)
    - 3월 MTS 욕심없다고 뉴스 뜸 ( 플랫폼에서 상품을 팔겠다고 함 )

    미래에셋
    - 호텔 & 항공사 등 투자 많이 함 -> 코로나 먹구름

    미국
    - 2조 재정정책 4조 통화정책 (6조 달러; 7500조원)
    - 무제한 양적완화 정책
    - 미국 신규 실업수당 신청 328만 3000건 사상 최대 (보통 50만건임) / 웃긴건 주가는 오름
    -> 다음주는 줄어들것을 예상했겠으나 미국 확진자 급상승중
    -> 3월 29일 저녁 9시20분기준 10만 넘음

    대한민국
    - 긴급자금 100조 투입 / 무제한 RP매입  (한국판 양적완화?)
    - 국민국채 40조원 ( 3년만기 연 2.5% ); 금모으기 삼성전자 대신 채권? - 그냥 뉴스만 뜸

    이탈리아 / 스페인
    -EU에 공동채권 발행 촉구 (ECB 해줄수 없음 - 연대부담이라서 안됨)

    테마주
    - 씨젠 / 랩지노믹스 / 셀트리온

    아마존 프라임



    2020년 3월 24일 화요일

    25일 장을 위한 자료 수집


    세계 증시 현황


    3월 나아가 4월까지는 확산세이고, 정책들도 4월이후에나 시행되는데, 기대? 때문에 증시는 오른다...? 이러한 기대치가 사실 이상하다...


    [25일 코스피 장]

    - 10:36분 기준 다우 지수가 6% 상승 출발했다. 내일 코스피도 오를것 같다.

    [아시아 증시상황]


    -일본 증시의 닛케이 225 지수와 토픽스 지수는 각각 7.13%, 3.18% 뛰었다.

    -중국 증시에서도 상하이종합지수(2.34%)와 선전종합지수(2.10%)가 나란히 강세를 보였다.

    -대만 자취안 지수와 호주 S&P ASX200 지수도 각각 4.45%, 4.17% 오른 채 장을 마쳤다.

    -홍콩 항셍 지수는 이날 오후 4시 5분 현재 4.39% 오른 상태다.



    [채권·증권시장안정펀드]


    ** 캐피탈 콜(Capital call)이란 투자를 할 때 목표한 투자자금을 한 번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자본을 조성해 투자를 집행하고, 추가적인 자본 수요가 발생할 때마다 집행하는 방식을 말한다. (출처 : 연합인포맥스)

    - 채권시장안정펀드는 우선 10조원을 즉시 가동하고 10조원을 추가 조성한다. 은행, 생명보험, 손해보험, 금융투자 등 금융회사들과 산업은행 등 84개사가 출자

    - 증권시장안정펀드는 5대 금융지주, 각 업권 금융회사 18곳, 증권 유관기관이 총 10조7천억원을 조성

    -캐피털 콜 방식으로 자금을 모집해 개별 주식이 아닌 코스피200 같은 증권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상품에 투자한다. 주식 시장 전반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취지

    [ELS 관련]


    - ELS나 DLS는 기초자산인 주요 주식이나 주가 지수, 유가 등이 발행 당시 기준 가격보다 35~50%가량 하락해 녹인 구간에 접어들면, 원금 손실 가능성이 발생하도록 설계

    - 주가연계증권(ELS) 관련 마진콜(추가 증거금 요구)에 시달리는 대형 증권사들

    - 24일 정부는 금융시장 안정화 대책을 통해 증권사들에 한국증권금융 대출과 한국은행의 환매조건부채권(RP) 매입을 통해 각 2조5천억원씩 총 5조원을 증권사에 공급

    - 삼성증권의 ELS·파생결합증권(DLS) 관련 자체 헤지 규모는 7조2천40억원
    - 한국투자증권이 5조6천60억원
    - 미래에셋대우가 3조5천420억원
    - NH투자증권이 1조4천780억원 등 (하이투자증권 추산, 연합뉴스)